かじりたてのハングル ハングル正書法と解説
(margin) ハングル正書法と解説標準語規定と解説home
(margin)

         
    【第3章】 発音に関する事項   第5節 頭音法則
        10
  한자음 '녀, 뇨, 뉴, 니'가 단어 첫머리에 올 적에는 두음 법칙에 따라 '여, 요, 유, 이'로 적는다. (ㄱ을 취하고, ㄴ을 버림.)
  漢字音『', , , 』が単語の冒頭に来るときは,頭音法則に従い『, , , 』と表記する.(をとり,を捨てる)
       
    : 여자(女子) 연세(年) 요소(尿素) 유대(紐帶) 이토(泥土) 익명(匿名)
: 녀자           년세           뇨소           뉴대           니토           닉명
         
    다만,   だが,
    다음과 같은 의존 명사에서는 '냐, 녀' 음을 인정한다.   次のような依存名詞では『, 』音を認める.
       
    () 냥쭝(-) ()( )
         
    [붙임 1]    [付則1]
    단어의 첫머리 이외의 경우에는 본음대로 적는다.    単語の冒頭以外の場合には本来の音どおりに表記する.
         
    남녀(男女) 당뇨(糖尿) 결뉴(結紐) 은닉(隱匿) 
       
    [붙임 2]    [付則2]
    접두사처럼 쓰이는 한자가 붙어서 된 말이나 합성어에서, 뒷말의 첫소리가 'ㄴ' 소리로 나더라도 두음 법칙에 따라 적는다.    接頭辞のように使われる漢字が付いてできた言葉や合成語で.後の言葉の初声が『』で発音されても頭音法則に従って表記する.
       
    신여성(新女性) 공염불(空念佛) 남존여비(男尊女卑)
(新+女性) (空+念)(男尊+女卑)
       
    [붙임 3]    [付則3]
    둘 이상의 단어로 이루어진 고유명사를 붙여 쓰는 경우에도 붙임2에 준하여 적는다.    2つ以上の単語からなる固有名詞を分かち書きせずに表記する場合にも付則2に準じて表記する.
       
    한국여자대학 (韓−女子(−)大
대한요소비료회사(大韓−尿素(−)肥料(−)
社)
       
    【解説】
       
    단어 첫머리에 위치하는 한자의 음이 두음 법칙에 따라 달라지는 것은 달라지는 대로 적는다. 음소 문자인 한글은 원칙적으로 1자 1음(소)의 체계를 취하지만, 표의 문자인 한자의 경우는, 국어의 음운 구조에 따라 두 가지 형식을 취한 것이다.   単語の冒頭に位置する漢字の音が頭音法則によって変化するものは変化するとおりに表記する.音素文字であるハングルは原則的に1字1音(素)の体系をとるが,表意文字である漢字の場合は,国語の音韻構造に従い2つの形式をとる.
    본음이 '녀, 뇨, 뉴, 니'인 한자가 첫머리에 놓일 때는 '여, 요, 유, 이'로 적는다.    本来の音が『, , , 』の漢字が冒頭に置かれるときは『, , , 』と表記する.
       
    연도(年度) 열반(涅槃) 요도(尿道) 육혈(血)  이승(尼僧) 이토(泥土) 익사(溺死) 
       
    다만,   だが,
    의존 명사인 '냥(←兩), 냥쭝(←兩-), 년(年)' 등은 그 앞의 말과 연결되어 하나의 단위를 구성하는 것이므로, 두음 법칙을 적용하지 않고 소리 나는 대로 적기로 한 것이다.   だが,依存名詞である『(←兩), 냥쭝(←兩-), (年)』などはその前の言葉と連結されひとつの単位を構成するため,頭音法則を適用せず発音どおりに表記することとした.
       
    금 한 냥     은 두 냥쭝   십 년
(金1両)     (銀2両)   (10年)
       
    년(年)'이 '연 3회'처럼 '한 해 (동안)'란 뜻을 표시하는 경우엔 의존 명사가 아니므로, 두음 법칙이 적용된다.    (年)』が『 3(年3回)』のように『1年(間)』という意味を示す場合には,依存名詞ではないため,頭音法則が適用される.
    한편, 고유어 중에서도 다음 의존 명사에는 두음 법칙이 적용되지 않는다.    一方,固有語でも次の依存名詞には頭音法則が適用されない.
       
    녀석(고얀 녀석)                       년(괘씸한 년)         님(바느질 실 한 님)  닢(엽전 한 닢, 가마니 두 닢)
野郎(ふざけた(=고약한)野郎) あま(不届きなあま)  本(針仕事の糸1本)  枚(葉銭1枚,かます2枚)
       
    [붙임 1]    [付則1]
    단어 첫머리가 아닌 경우에는 두음 법칙이 적용되지 않으므로, 본음대로 적는 것이다    単語の冒頭でない場合には,頭音法則が適用されないため,本来の音どおりに表記する.
       
    [붙임 2]    [付則2]
    접두사처럼 쓰이는 한자'란, 사전들에서 접두사로 다루어지는 게 통례이긴 하나, 그 성격상 접두사로 단정하기 어려운 한자어 형태소를 말한다. 예컨대 '신(新), 구(舊)'는 의존 형태소라는 점에서 접사적 성격을 띠는 것이지만 '신구(新舊)와 같이 양자가 대등한 관계로 결합된 구조에서는 명사적 성격을, '신인(新人), 신참(新參)'과 같이 수식·피수식의 관계로 결합된 구조에서는 형용사 또는 부사적 성격을 띠는 것이다. 따라서 한자어의 구조적 특질을 고려할 때, '신-세계, 신-여성'처럼 독립성을 지닌 단어 앞에 결합한 구조에서만 접두사로 분석하는 게 과연 합리적인 처리이냐 하는 의문이 제기될 수 있다는 견해에서, 이와 같이 표현한 것이다.    『接頭辞のように使われる漢字』とは,辞典などで接頭辞と扱われるのが通例ではあるが,その性格上接頭辞だと断定し難い漢字語の形態素をいう.例えば『(新), (旧)』は依存形態素という点で接辞的性格を帯びるものだが『신구(新旧)』のように両者が対等な関係で結合した構造では名詞的性格を,『신인(新人), 신참(新參)』のように修飾・被修飾の関係で結合した構造では形容詞または副詞的性格を帯びる.従って,漢字語の構造的特質を考慮するとき,『-세계(新−世界), -여성(新−女性)』のように独立性を持った単語の前に結合した構造でのみ接頭辞だと分析するのが果たして合理的な処理なのかという疑問が提起されうるという見解から,このように表現した.
    독립성이 있는 단어에 접두사처럼 쓰이는 한자어 형태소가 결합하여 된 단어나, 두 개 단어가 결합하여 된 합성어 (혹은 이에 준하는 구조)의 경우, 뒤의 단어에는 두음 법칙이 적용된다. '신-여성, 구-여성, 공-염불'은 독립성이 있는 단어 '여성, 염불'에 접두사적 성격의 한자어 형태소 '신-, 구-, 공-'이 결합된 구조이므로 '신녀성, 구녀성, 공념불'로 적지 않으며, '남존-여비, 남부-여대(男負女戴)' 등은 각각 단어 (혹은 절) 성격인 '남존, 남부'와 '여비, 여대'가 결합한 구조이므로, '남존녀비, 남부녀대'로 적지 않는다.    独立性がある単語に接頭辞のように使われる漢字語の形態素が結合してできた単語や,2つの単語が結合してできた合成語(またはこれに順ずる構造)の場合,後の単語には頭音法則が適用される.『-여성(新−女性), -여성(旧−女性), -염불(空−念仏)』は独立性がある単語『女性,念仏』に接頭辞的性格の漢字語の形態素『-(新−), -(旧−), -(空−)』が結合した構造であるため『신녀성, 구녀성, 공념불』と表記せず,『남존-여비, 남부-여대(男負女戴)(夫婦または貧しい人が流浪するさま)』などはそれぞれ単語(または節)の性格である『남존(男尊),남부(男負)』と『여비(女卑), 여대(女戴)』が結合した構造であるため『남존녀비, 남부녀대』とは表記しない.
      한편, 예컨대 '신년도, 구년도' 등은 그 발음 형태가 [신년도, 구ː년도]이며 또 '신년-도, 구년-도'로 분석되는 구조이므로, 이 규정이 적용되지 않는다.    一方,例えば『신년도(新年度), 구년도(旧年度)』などはその発音形態が[신년도, 구ː년도]で,『新年−度』『旧年−度』と分析される構造であるため,この規定は適用されない.
       
    [붙임 3]    [付則3]
    둘 이상의 단어로 이루어진 고유 명사를 붙여 쓰는 경우에도, '한국 여자 약사회→한국여자약사회'처럼 결합된 각 단어를 두음 법칙에 따라 적는다. 이것은 합성어의 경우에 준하는 형식이다.    2つ以上の単語からなる固有名詞を分かち書きしない場合にも『한국 여자 약사회한국여자약사회(韓国女子薬師(薬剤師)会)』のように結合した各単語を頭音法則に従って表記する.これは合成語の場合に準ずる形式だ.
         
       


ハングル正書法と解説home

(margin)
(mar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