かじりたてのハングル ハングル正書法と解説
(margin) ハングル正書法と解説標準語規定と解説home
(margin)

         
    【第4章】 形態に関する事項   第3節 接尾辞が付いてできた言葉
        19
  어간에 '- ' '- /- ' 붙어서 명사로 것과 '- ' '- ' 붙어서 부사로 것은 어간의 원형을 밝히어 적는다.
  語幹に'- 'や'- /- 'が付いて名詞になったものと,'-'や'-'が付いて副詞になったものは,その語幹の原形を明確にして表記する.
       
    1. '-이'가 붙어서 명사로 된 것    1.'-'が付いて名詞になったもの
         
    길이   깊이     높이   다듬이 땀받이   달맞이
먹이   미닫이   벌이   벼훑이 살림살이 쇠붙이
       
    2. '-음/-ㅁ'이 붙어서 명사로 된 것   2. '-/-'が付いて名詞になったもの
       
    걸음 묶음 믿음 얼음 엮음 울음 웃음 졸음 죽음 앎 만듦 
         
    3. '-이'가 붙어서 부사로 된 것   3.'-'が付いて副詞になったもの
       
    같이 굳이 길이 높이 많이 실없이 좋이 짓궂이
         
    4. '-히'가 붙어서 부사로 된 것    4.'-'が付いて副詞になったもの
       
    밝히 익히 작히
         
    다만,   だが,
    어간에 '-이'나 '-음' 이외의 모음으로 시작된 접미사가 붙어서 다른 품사로 바뀐 것은 그 어간의 원형을 밝히어 적지 아니한다.    語幹に'-'や'-'以外の母音で始まる接尾辞が付いて異なる品詞に変化するものは,その語幹の原形を明確に表記しない.
         
    (1) 명사로 바뀐 것    (1)名詞に変化したもの
       
    귀머거리 까마귀 너머 뜨더귀 마감 마개 마중 무덤 비렁뱅이 쓰레기 올가미 주검 
         
    (2) 부사로 바뀐 것    (2)副詞に変化したもの
       
    거뭇거뭇 너무 도로 뜨덤뜨덤 바투 불긋불긋 비로소 오긋오긋 자주 차마 
         
    (3) 조사로 바뀌어 뜻이 달라진 것   (3)助詞に変化し意味が変わったもの
       
    나마 부터 조차
         
    【解説】
       
    1, 2. 명사화 접미사 '-이, -음'은 비교적 널리(여러 어간에) 결합하며, 또 본디 어간 형태소의 뜻이 그대로 유지된다.    1.2.名詞化の接尾辞'-, -'は比較的広く(さまざまな語幹に)結合し,また本来の語幹の形態素の意味がそのまま保たれる.
         
    (굽다) 굽어        (걸다) 귀걸이   (밝다) 귀밝이
(넓다) 넓이        (놀다) 놀음놀이 (더듬다) 더듬이
(뚫다) 대뚫이      (받다) 물받이   (뿜다) 물뿜이
(앓다) 배앓이      (놀다) 뱃놀이   (맞다) 손님맞이
(잡다) 손잡이      (막다) 액막이   (닫다) 여닫이
(걸다) 옷걸이      (박다) 점박이   (살다) 하루살이
(돋다) 해돋이      (씻다) 호미씻이 (묻다) 휘묻이
(갈다) 갈음(-하다) (볶다) 고기볶음 (그을다) 그을음
(모질다) 모질음    (살다) 삶       (섧다) 설움
(솎다) 솎음        (수줍다) 수줍음 (갚다) 앙갚음
(엮다) 엮음        (솟다) 용솟음   (일컫다) 일컬음
(놀다) 탈놀음      (막다) 판막음 
       
    겨레붙이, 쇠붙이, 일가붙이, 피붙이'의 '-붙이'를 '부치'로 적자는 의견이 있었으나, 이 경우 '붙-'에는 '붙다, 딸리다'란 뜻이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기 때문에, '붙이'로 적기로 하였다.    겨레붙이, 쇠붙이, 일가붙이, 피붙이'の'-붙이'を'부치'と表記しようという意見が合ったが,この場合'-'には'붙다, 딸리다'という意味が保たれていると解釈されるため,'붙이'と表記することとした.
       
    3, 4. 부사화 접미사 '-이, -히'도 비교적 규칙적으로 널리(여러 어간에) 결합한다.    3,4.副詞化の接尾辞'-, -'も比較的規則的に広く(さまざまな語幹に)結合する.
         
    (곧다)곧이(-듣다) (없다)덧없이 (옳다)옳이 (적다)적이
(밝다)밝히        (익다)익히   (작다)작히 
       
    (-지 말아라→) -지 마라'의 경우는, 어간 끝 받침 'ㄹ'과 어미의 '아'가 함께 줄어지는 형태인데, 이른바 문어체(文語體) 명령형이나 간접 인용법의 형식에서는 '말라'가 사용된다.   『(- 말아라→) - 마라(〜するな)』の場合は,語幹の最後のパッチム『』と語尾の『』が共に なくなる形態だが,いわゆる文語体の命令形や間接引用法の形式では『말라』が使用される.
         
    (가지 말아라) 가지 말라.  읽지 말라고 하였다.
       
    밝히'는 그 뒤에 '증명하다(되다)' 같은 말이 연결되긴 하지만, '만들다, 비치다, 빛나다' 같은 말이 자연스럽게 연결되지 않는 제약성을 지니므로, 부사적 기능이 약한 단어이며, '작히(작히나)'는 그 어근(어간)의 본뜻과 상당히 멀어진 단어다. 그러나 용언 어간 '밝-, 작-'에 부사화 접미사가 결합하여 된 단어이므로, 여기서 다룬 것이다.    밝히'はその後に'증명하다(되다)'のような言葉が来たりするが,'만들다, 비치다, 빛나다'のような言葉が自然につながらない制約を持つため副詞的機能が弱い単語で,'작히(작히나)'はその語根(語幹)の本来の意味とかなり遠くなった単語だ.しかし,用言語幹の'-, -'に副詞化の接尾辞がつながってできた単語であるため,ここで扱った.
    다만,   だが,
    명사화 접미사 '-이, -음'이 결합하여 된 단어라도, 그 어간의 본뜻과 멀어진 원형(原形)을 밝힐 필요가 없으므로, 소리 나는 대로 적는다. 예시어들은 '돌(다), 달(다), 걸(다), 열(다), 길(다), 놀(다)' 같은 어간 형태소의 뜻이 유지되고 있지 않으므로, '굽돌이, 달이, 목걸이(딴 단어), 문열이, 코길이(코낄이), 곯음, 놀음(딴 단어)'처럼 적을 이유가 없는 것이다.    名詞化の接尾辞'-, -'が結合してできた単語でも,その語幹の本来の意味とは遠くなったものは原形を明確にする必要がないため,発音どおりに表記する.例示語は '(), (), (), (), (), ()'のように語幹の形態素の意味が保たれていないため,굽돌이, 달이, 목걸이( 단어), 문열이, 코길이(코낄이), 곯음, 놀음( 단어)'のように表記する理由がない.
         
    너비   도리깨   두루마리
목도리 빈털터리 턱거리(언턱거리, 종기) 
       
    따위도 이 규정이 적용된다.   などもその規定が適用される.
    한편, '거름(肥料), 노름(賭博), 어름(物界)' 등은 '걸음(步), 놀음(遊), 얼음(氷)'과 달리 적는 동음이의어(同音異義語)인 것이다.    一方,'거름(肥料), 노름(賭博), 어름(物界)'などは'걸음(), 놀음(遊), 얼음(氷)'とは別に表記する同音異義語だ.
         
    [붙임]    [付則]
    비교적 널리(여러 어간에) 결합하는 '-이, -음'과는 달리, 불규칙적으로 결합하는, 모음으로 시작된 접미사가 붙어서 다른 품사로 바뀐 것은, 그 원형을 밝히지 않고 소리 나는 대로 적는다.    比較的広く(さまざまな語幹に)結合する '-, -'とは異なり,不規則的に結合する母音で始まる接尾辞が付いて異なる品詞に変化したものは,その原形を明確にせず発音どおりに表記する.
       
    (1) 명사로 된 것    (1) 名詞になったもの
         
    (꾸짖웅) 꾸중       (남어지) 나머지 (눋웅지) 누룽지
(늙으막) 늘그막     (돌앙) 도랑     (돌으래) 도르래
(동글아미) 동그라미 (붉엉이) 불겅이 (뻗으렁) 뻐드렁니
(옭아미) 올가미     (짚앙이) 지팡이 (뚫에) 코뚜레 
         
    (2) 부사로 된 것    (2) 副詞になったもの
         
    (늘우) 느루     (돋우) 도두     (돌오) 도로     (맞우) 마주
(비뚤오) 비뚜로 (밟암) 발밤발밤 (잡암) 자밤자밤 (줏엄) 주섬주섬 
         
    '넘어, 너머, 너무'는    '넘어, 너머, 너무'は
         
    산을 넘어(동사) 날아간다. えてんでく)
산 너머(명사)에 있는 마을. こうにある
사람이 너무(부사) 많다. がとてもい)
         
    처럼 구별되며,   のように区別され,
    '참아, 차마'는   '참아, 차마'は
         
    괴로움을 참아(동사) 왔다. 苦痛えてきた)
차마(부사) 때릴 수는 없었다. (まさかれはしないだろう)
         
    처럼 구별된다.   のように区別される.
         
    (3) 조사로 된 것   (3) 助詞になったもの
    동사 '남다, 붙다, 좇다'의 부사형 '남아, 붙어, 좇아'가 허사화(虛辭化)한 것인데, 형식 형태소인 조사이므로 소리 나는 대로 적는다. '마저'(←마자←맞아)'도 이에 해당된다.   動詞'남다, 붙다, 좇다'の副詞形'남아, 붙어, 좇아'が虚辞化したものだが,形式形態素の助詞であるため発音どおりに表記する.'마저'(←마자맞아)'もこれに該当する.
         
       


ハングル正書法と解説home

(margin)
(mar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