かじりたてのハングル ハングル正書法と解説
(margin) ハングル正書法と解説標準語規定と解説home
(margin)

         
    【第4章】 形態に関する事項   第3節 接尾辞が付いてできた言葉
        20
  명사 뒤에 '- ' 붙어서 말은 명사의 원형을 밝히어 적는다.
  名詞の後に'- 'が付いてできた言葉は,その名詞の原形を明確にして表記する
       
    1. 부사로 된 것    1.副詞になったもの
         
    곳곳이 낱낱이 몫몫이 샅샅이 앞앞이 집집이
       
    2. 명사로 된 것    2.名詞になったもの
       
    곰배팔이 바둑이 삼발이 애꾸눈이 육손이 절뚝발이/절름발이
         
    [붙임]    [付則]
     '-이' 이외의 모음으로 시작된 접미사가 붙어서 된 말은 그 명사의 원형을 밝히어 적지 아니한다.     '-'以外の母音で始まる接尾辞が付いてできた言葉は,その名詞の原形を明確にせずに表記する.
       
    꼬락서니 끄트머리 모가치 바가지 바깥 사타구니
싸라기 이파리 지붕 지푸라기 짜개 
         
    【解説】
       
    명사에 접미사 '-이'가 결합하여 다른 품사로 바뀌거나 뜻만 달라지는 경우에도, 명사의 본 모양을 밝히어 적는다. 이 경우의 '이'는 어간에 붙는 '이'처럼 규칙적으로 널리 결합하는 것은 아니지만, 1의 예와 같이 명사가 중복되면서 '이'가 결합하여 부사화하는 형식은 꽤 널리 적용된다.    名詞に接尾辞'-'が結合して異なる品詞に変化したり,意味が変化する場合にも,名詞の本来の形を明らかにして表記する.この場合の''は語幹に付く''のように規則的に広く結合するものではないが,1の例のように名詞が重複し''が結合して副詞化する形式は非常に広く適用される.
       
    간간이 겹겹이 길길이 눈눈이 땀땀이 번번이
사람사람이 옆옆이 줄줄이 참참이 철철이 첩첩이
틈틈이 나날이 다달이 골골샅샅이 구구절절이 사사건건이 
         
    품사는 달라지지 않으면서 뜻만 달라지는 것으로는   品詞は変わらないものの意味だけ変わるものとしては
       
    각설이 검정이 고리눈이
네눈이 딸깍발이 맹문이
생손이 왕눈이 외톨이
외팔이 우걱뿔이 퉁방울이 
         
    따위도 있다. '외톨이'는 '외톨(←외돌토리)'에 '-이'가 결합한 구조이므로, '외톨이'로 적는 것이다   などもある.'외톨이'は'외톨(←외돌토리)'に'-'が結合した構造であるため, '외톨이'と表記する.
       
    [붙임]    [付則]
    명사 뒤에 '-이' 이외의 모음으로 시작된 접미사가 결합하여 된 단어의 경우는, 그것이 규칙적으로 널리 결합하는 형식이 아니므로, 명사의 형태를 밝히어 적지 아니한다.    名詞の後に'-'以外の母音で始まる接尾辞が結合してできた単語の場合は,それがk塩区的に広く結合する形式ではないため,名刺の形態を明確には表記しない.
       
    (골앙)고랑     (굴엉)구렁      (끝으러기)끄트러기
(목아지)모가지 (샅애)사태-고기 (속아지)소가지
(솥앵)소댕     (올아기)오라기  (털억)터럭 
         
     '모가치'는 '몫'에 '-아치'가 붙어서 된 단어다. 따라서 본 규정을 적용하여 '목사치'로 적을 것이지만, 사람들이 그 어원적인 형태를 인식하지 못하며, 또 발음 형태도 [모가치]로 굳어져 있기 때문에, 관용에 따라 '모가치'로 적는 것이다.    '모가치'は''に'-아치'が付いてできた単語だ.従って本規定を適用すると'목사치'と表記するものだが,人々がその語源的な形態を認識しておらず,また発音形態も[모가치]で固定化しているため,慣用に従い'모가치'と表記する.
      이와 같은 유형으로 '값어치'가 있다. '값어치'에서의 '어치'는 사전들에서 접미사로 다루어지고 있다. 그렇게 보면 본 규정을 적용하여 '갑서치'로 적을 것이고, '모가치'의 경우와 같이 발음 형태를 취한다면 '가버치'로 적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한 푼어치, 십 원어치, 백 불(달러)어치, 천 엔어치, 만 프랑어치, 십만 마르크어치, …'처럼 쓰이는 '어치'는 (의존)명사적 성격을 강하게 지니고 있을 뿐 아니라, 사람들은 '어치'가 붙는 '푼, 원, …값' 등의 형태를 분명하게 인식하고 있어서, '푸너치, 워너치, …' 같은 표기 형태에 거부감을 가지게 된다. 그리하여 본 규정을 적용하지 않는 예외 형식으로 다루어서, 관용에 따라 '값어치'로 적는 것이다.   これに類するものとして'값어치'がある.'값어치'での'어치'は,辞典で接尾辞として扱われている.そう見ると本規定を適用すると'갑서치'と表記するべきで,'모가치'の場合と々発音形態をとれば'가버치'と表記しなければならない.しかし' 푼어치, 원어치, (달러)어치, 엔어치, 프랑어치, 십만 마르크어치, …'のように使われる'어치'は(依存)名詞的な性格を強く持っているだけでなく,人々は'어치'が付く', , …'などの形態を明確に認識しており,'푸너치, 워너치, …' のような表示形態に拒否感をもってしまう.それで本規定を適用しない例外形式として扱い,慣用に従い'값어치'と表記する.
      예외 형식으로는 '벼슬아치'도 있다. 이 경우의 '-아치'(동냥아치, 장사아치)는 접미사로 다루어진다. 따라서 본 규정을 적용하면, '벼스라치'로 적을 것이지만, 역시 사람들이 '벼슬(동냥, 장사)'의 형태를 분명하게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관용에 따라 '벼슬아치'로 적는다.   例外形式としては'벼슬아치'もある,この場合の'-아치'(동냥아치, 장사아치)は,接尾辞として扱われる.従って,本規定を適用すれば, '벼스라치'と表記するものだが,はやり人々が'벼슬(동냥, 장사)'の形を明確に認識しているために.慣用に従い'벼슬아치'と表記する.
      또, 표준어 규정 제17항에서 다루어진 '반빗아치'는 '반빗'(반찬 만드는 일)에 '-아치'가 붙어서 된 단어이지만, 발음 형태가 [반비다치]로 굳어져 있어서 '반비사치'로 적을 수 없는 것이므로, 관용에 따라 '반빗아치'로 적는다.   また,標準語規定第17項で扱われた'반빗아치'は'반빗'(반찬 만드는 )に '-아치'が付いてできた単語だが,発音形態が[반비다치]で固定化しており'반비사치'と表記できないため,慣用に従い'반빗아치'と表記する.
    본 규정에 따라 해석하면,
(원칙적인 형식) ― 목사치, 갑서치, 벼스라치, 반비사치
(예외적인 형식) ― 모가치, 값어치, 벼슬아치, 반빗아치
에서, 예외적인 형식을 취한 것이다. 
  本規定に従って解釈すれば,
(原則的な形式)― 목사치, 갑서치, 벼스라치, 반비사치
(例外的な形式)―
모가치, 값어치, 벼슬아치, 반빗아치
で,  例外的な形式をとった.
         
       


ハングル正書法と解説home

(margin)
(mar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