かじりたてのハングル ハングル正書法と解説
(margin) ハングル正書法と解説標準語規定と解説home
(margin)

         
    【第4章】 形態に関する事項   第3節 接尾辞が付いてできた言葉
        22
  용언의 어간에 다음과 같은 접미사들이 붙어서 이루어진 말들은 어간을 밝히어 적는다.
  用言の語感に次のような接尾辞が付いて成立した言葉は,その語幹を明確に表記する. 
       
    1. '-기-, -리-, -이-, -히, -구-, -우-, -추-, -으키-, -이키-, -애-'가 붙는 것    1.'--, --, --, -, --, --, --, -으키-, -이키-, --'が付いたもの
         
    맡기다 옮기다   웃기다   쫓기다
뚫리다 울리다   낚이다   쌓이다
핥이다 굳히다   굽히다   넓히다
앉히다 얽히다   잡히다   돋구다
솟구다 돋우다   갖추다   곧추다
맞추다 일으키다 돌이키다 없애다
       
    다만,   だが,
     '-이-, -히-, -우-'가 붙어서 된 말이라도 본뜻에서 멀어진 것은 소리대로 적는다.     '--, --, --'が付いてできた言葉でも,本来の意味から遠くなったものは発音どおりに表記する.
       
    도리다(칼로 〜 )   드리다(용돈을 〜 ) 고치다 바치다(세금을 〜 )
부치다(편지를 〜 ) 거두다             미루다 이루다 
         
    2. '-치-, -뜨리-, -트리-'가 붙는 것     2.'--, -뜨리-, -트리-'が付くもの
       
    놓치다             덮치다             떠받치다
받치다             밭치다             부딪치다
뻗치다             엎치다             부딪뜨리다/부딪트리다
쏟뜨리다/쏟트리다  젖뜨리다/젖트리다  찢뜨리다/찢트리다
흩뜨리다/흩트리다 
         
    [붙임]    [付則]
     '-업-, -읍-, -브-'가 붙어서 된 말은 소리대로 적는다.    '--, --, --'が付いてできた言葉は,発音どおりに表記する.
       
    미덥다 우습다 미쁘다 
         
    【解説】
       
    1. 이 접미사들은 다만 피동, 사동 등의 의미와 기능을 표시하는 요소이므로, 실질 형태소인 (본디의) 어간과는 분명하게 구별된다. 곧, '(본디의) 어간+피동화·사동화 요소+어미'의 구조에 있어서 피동화, 사동화 요소의 첨가는 규칙적인 형식으로 성립되는 것이다. 피동화, 사동화 접미사가 파생어의 어간을 형성하는 성분이면서도 본디의 어간과 분명히 구별되며, 규칙적인 형식으로 결합하는 요소이기 때문에, 본디 어간의 형태를 밝히어 적음으로써, 그 의미가 쉽게 파악되도록 하는 것이다.   1.この接尾辞はしかし,受動,使役などの意味と機能を示す要素であるため,実質形態素である(本来の)語幹とは明確に区別される.すなわち,『(本来の)語幹+受動化・使役化の要素+語尾』の構造において受動化・使役化の要素の添加は規則的な形式で成立する.受動化・使役化の接尾辞が派生語の語幹を形成する成分であっても,本来の語幹とは明確に区別され,規則的な形式で結合する要素であるため,本来の語幹の形態を明確にして表記することで,その意味が容易に把握できるようにした.
      '낚다'의 피동사나 사동사는 마찬가지로 '낚이다'로 적으며, '녹다, 눅다(柔, 軟), 썩다'의 사동사는 '녹이다(×녹히다), 눅이다(×눅히다), 썩이다(×썩히다)'로 적는다. 그리고 '돋우다, 돋구다'는, 안경의 도수(度數) 따위를 높게 하다란 뜻으로는 '돋구다'를, 높아지게 하다, 끌어올리다란 뜻으로는 '돋우다'를 쓰는 게 통례다. 흔히 사용되고 있는 '늘구다(→늘리다, 늘이다), 떨구다(→떨어뜨리다)' 등은 비표준어로 다루어지는 것이다.   낚다(釣る)'の受動形と使役形は同じく'낚이다(釣られる,釣らせる)'と表記し,'녹다(溶かす), 눅다(やわらかい), 썩다(腐る)'の使役形は'녹이다(溶かす)(×녹히다), 눅이다(やわらかくする)(×눅히다), 썩이다(くさらせる)(×썩히다)'と表記する.そして,'돋우다, 돋구다'は,メガネの度数などを上げるという意味では'돋구다'を,高くする・引き上げるという意味では'돋우다'を使うのが通例だ.よく使用されている'늘구다(→늘리다, 늘이다), 떨구다(→떨어뜨리다)'などは非標準語として扱う.
    다만,   だが,
    어원적인 형태는 어간에 접미사 '-이, -히, -우'가 결합한 것으로 해석되더라도, 본뜻에서 멀어졌기 때문에 피동이나 사동의 형태로 인식되지 않는 것은 소리 나는 대로 적는다. 예시어 '도리다, 드리다, 고치다, 바치다, 부치다, 거두다, 미루다, 이루다'는 '돌(廻)이다, 들(入)이다, 곧(直)히다, 받(受)히다, 붙(附)이다, 걷(撒, 捲)우다, 밀(推)우다, 일(起)우다'와 같은 사동의 형태로 해석할 수 없는 것이다. 이 접미사들은 다만 피동, 사동 등의 의미와 기능을 표시하는 요소이므로, 실질 형태소인 (본디의) 어간과는 분명하게 구별된다. 곧, '(본디의) 어간+피동화·사동화 요소+어미'의 구조에 있어서 피동화, 사동화 요소의 첨가는 규칙적인 형식으로 성립되는 것이다. 피동화, 사동화 접미사가 파생어의 어간을 형성하는 성분이면서도 본디의 어간과 분명히 구별되며, 규칙적인 형식으로 결합하는 요소이기 때문에, 본디 어간의 형태를 밝히어 적음으로써, 그 의미가 쉽게 파악되도록 하는 것이다.   語源的な形態は語幹に接尾辞'-, -, -'が結合したものだと解釈されても,本来の意味から遠くなったっために受動や使役の形態として認識されないものは,発音どおりに表記する.例示語'도리다, 드리다, 고치다, 바치다, 부치다, 거두다, 미루다, 이루다'は,'(廻)이다, (入)이다, (直)히다, (受)히다, (附)이다, (撒, 捲)우다, (推)우다, (起)우다'のような使役の形態だと解釈できないものだ.これらの接尾辞はしかし,受動・使役などの意味と機能を示す要素であるため,実質形態素である(本来の)語幹とは明確に区別される.すなわち,『(本来の)』語幹+受動化・使役化の要素+語尾」の構造において受動化・使役化の要素の添加は規則的な形式で成立している.受動化・使役化の接尾辞が派生語の語幹を形成する成分でありながらも,本来の語幹と明確に区別され,規則的な形式で結合する要素であるため,本来の語幹の形態を明確にして表記することで,その語尾が容易に把握できるようにする.
         
    2. 이 경우는 자음으로 시작된 접미사가 결합하는 형식이므로, 전 항(제21항) 규정의 적용 대상이기도 하다.
  '-뜨리, -트리'는 지금까지 '뜨리'만을 취했었으나, 표준어 규정(제26항)에서 두 가지를 다 인정한 것이다. 그리고 '뻐치다(…까지 미치다, 닿다), 뻗치다('뻗지르다'의 강세어)'는 구별 없이 '뻗치다'로 적는다. (제55항 참조.) 또, '부딪다, 부딪치다, 부딪히다, 부딪치이다'는 다음과 같이 구별된다. 
  2.この場合は子音で始まる接尾辞が結合する形式であるため,前項(第21項)の規定の適用対象でもある. '-뜨리, -트리'はこれまで'뜨리'だけをとっていたが,標準語規定(第26項)で2つを共に認定した.そして,'뻐치다(…까지 미치다, 닿다), 뻗치다('뻗지르다' 강세어)'は,区別なく'뻗치다'と表記する(第55項参照).また,'부딪다, 부딪치다, 부딪히다, 부딪치이다'は,つぎのように区別する.
    • 부딪다(힘있게 마주 닿다, 또는 그리 되게 하다.)
• 부딪치다('부딪다'의 강세어.)
• 부딪히다('부딪다'의 피동사. 부딪음을 당하다의 뜻.)
• 부딪치이다('부딪치다'의 피동사. 부딪침을 당하다의 뜻.) 
  부딪다(ぶつかる(力強く互いに接触する. または,そうなる)
부딪치다('부딪다'の強調語)
부딪히다('부딪다'の受動形. 부딪음を受けたの意)
부딪치이다('부딪치다'の受動形. 부딪침を受けたの意)
         
    [붙임]    [付則]
     ' '미덥다, 우습다, 미쁘다'는 '(믿다)믿업다. (웃다)웃읍다, (믿다)믿브다'처럼 형성된 단어인데, 제19항 붙임 규정이 적용되는 것이므로 소리 나는 대로 적는다. 역사적인 현상으로는, '고프다(←곯브다), 기쁘다(←깃브다), 나쁘다(←낮브다), 바쁘다(←밫브다), 슬프다(←슳브다)' 따위도 이런 유형이다.    '미덥다, 우습다, 미쁘다'は,'(믿다)믿업다. (웃다)웃읍다, (믿다)믿브다'のように形成された単語だが,第19項の付則の規定が適用されるため,発音どおりに表記する.歴史的な形態としては'고프다(←곯브다), 기쁘다(←깃브다), 나쁘다(←낮브다), 바쁘다(←밫브다), 슬프다(←슳브다)'などもその類だ.
         
       


ハングル正書法と解説home

(margin)
(mar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