かじりたてのハングル ハングル正書法と解説
(margin) ハングル正書法と解説標準語規定と解説home
(margin)

         
    【第4章】 形態に関する事項   第4節 合成語および接頭辞が付いた言葉
        30
    사이시옷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받치어 적는다.
  サイシオッは次のような場合に付けて表記する. 
       
    1. 순 우리말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1.固有語でできた合成語で,前の言葉が母音で終わった場合
    (1)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    (1)後の言葉の初声が濃音で発音されるもの
         
    고랫재   귓밥     나룻배   나뭇가지 냇가      댓가지   뒷갈망
맷돌     머릿기름 모깃불   못자리   바닷가    뱃길     볏가리
부싯돌   선짓국   쇳조각   아랫집   우렁잇속  잇자국   잿더미
조갯살   찻집     쳇바퀴   킷값     핏대      햇볕     혓바늘 
       
    (2) 뒷말의 첫소리 'ㄴ, ㅁ' 앞에서 'ㄴ' 소리가 덧나는 것    (2)後の言葉の初声『』『』の前で『』音が加わるもの
         
    멧나물 아랫니 텃마당 아랫마을 뒷머리 잇몸 깻묵 냇물 빗물 
       
    (3) 뒷말의 첫소리 모음 앞에서 'ㄴㄴ' 소리가 덧나는 것   (3)後の言葉の初声の前で『ㄴㄴ』音が加わるもの
         
    도리깻열 뒷윷 두렛일 뒷일 뒷입맛 베갯잇 욧잇 깻잎 나뭇잎 댓잎 
       
    2. 순 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로서 앞말이 모음으로 끝난 경우   2.固有語と漢字語でできた合成語で,前の言葉が母音で終わった場合
    (1)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것   (1)後の言葉の初声が濃音で発音されるもの 
         
    귓병 머릿방 뱃병 봇둑 사잣밥 샛강 아랫방 자릿세 전셋집
찻잔 찻종 촛국 콧병 탯줄 텃세 핏기 햇수 횟가루 횟배 
       
    (2) 뒷말의 첫소리 'ㄴ, ㅁ' 앞에서 'ㄴ' 소리가 덧나는 것   (2)後の言葉の初声『』『』の前で『』の音が加わるもの
         
    곗날 제삿날 훗날 툇마루 양칫물 
       
    (3) 뒷말의 첫소리 모음 앞에서 'ㄴㄴ' 소리가 덧나는 것   (3)後の言葉の初声の母音の前で『ㄴㄴ』の音が加わるもの
         
    가욋일 사삿일 예삿일 훗일 
       
    3. 두 음절로 된 다음 한자어   3.2つの音節でできた次の漢字語
         
    곳간(庫間) 셋방(貰房) 숫자(數字) 찻간(車間) 툇간(退間) 횟수(回數) 
         
    【解説】
       
    (1) 고유어끼리 결합한 합성어( 및 이에 준하는 구조) 또는 고유어와 한자어가 결합한 합성어 중, 앞 단어의 끝 모음 뒤가 폐쇄되는 구조로서,    (1)固有語どうしが結合した合成語(および,これに準じる構造)または,固有語と漢字語が結合した合成語のうち,前の単語の最後の母音の後が閉鎖される構造で,
    ① 뒤 단어의 첫소리 'ㄱ, ㄷ, ㅂ, ㅅ, ㅈ' 등이 된소리로 나는 것
② 폐쇄시키는 음([ㄷ])이 뒤의 'ㄴ, ㅁ'에 동화되어 [ㄴ]으로 발음되는 것
③ 뒤 단어의 첫소리로 [ㄴ]이 첨가되면서 폐쇄시키는 음([ㄷ])이 동화되어 [ㄴㄴ]으로 발음되는 것 
  ①後ろの単語の初声『』『』『』『』『』などが濃音で発音されるもの
②閉鎖させる音([
])が後の『』『』に同化して[]と発音されるもの
③後の単語の初声として[
]が添加され,閉鎖させる音([])が同化して[ㄴㄴ]と発音されるもの
       
    (2) 두 글자(한자어 형태소)로 된 한자어 중, 앞 글자의 모음 뒤에서 뒤 글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6개 단어에 사이시옷을 붙여 적기로 한 것이다.   (2)2文字(漢字語の形態素)でできた漢字語のうち,前の文字の母音の後で,後の文字の初声が濃音で発音される6つの単語にサイシオッを付けて表記することとした.
    사이시옷 용법을 알기 쉽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サイシオッの用法を分かりやすく説明すれば次の通り.
       
    ①개-구멍, 배-다리, 새-집(鳥巢), 머리-말(序言)
②개-똥, 보리-쌀, 허리-띠, 개-펄, 배-탈, 허리-춤
③개-값, 내-가(川邊), 배-가죽(腹皮), 새(←사이)-길(間路), 귀-병(病), 기(旗)-대, 세(貰)-돈, 화(火)-김
④배-놀이(船遊), 코-날(鼻線), 비-물(雨水), 이-몸(齒), 무시(無市)-날, 보(洑)-물, 패(牌)-말
⑤깨-잎, 나무-잎, 뒤-윷, 허드레-일, 가외(加外)-일, 보(洑)-일
⑥고-간(庫間), 세-방(貰房), 수-자(數字), 차-간(車間), 퇴-간(退間), 회-수(回數) 
       
    에서, ①∼⑤는 모두 합성어이며, ⑥은 이에 준하는 한자어다. 그런데
①의 경우는, 앞 단어의 끝이 폐쇄되는 구조가 아니므로, 사이시옷을 붙이지 않는다.
②의 경우는, 뒤 단어의 첫소리가 된소리나 거센소리이므로, 역시 사이시옷을 붙이지 않는다.
③의 경우는, 앞 단어의 끝이 폐쇄되면서 뒤 단어의 첫소리가 경음화하여 [갣ː깝, 낻ː까]로 발음되므로, 
사이시옷을 붙이어 
  で,①〜⑤はすべて合成語で,⑥がこれに準じる漢字語だ.ところで,
①の場合は,前の単語の最後が閉鎖される構造ではないため,サイシオッを付けない.
②の場合は,後の単語の初声が濃音や激音であるため,やはりサイシオッを付けない.
③の場合は,前の単語の最後が閉鎖され,後の単語の初声が濃音化して[갣ː깝][낻ː까]と発音されるため,サイシオッを付けて,
         
    갯값, 냇가, 뱃가죽, 샛길, 귓병, 깃대, 셋돈, 홧김 
       
    으로 적는다.   と表記する.
    ④의 경우는, 앞 단어의 끝이 폐쇄되면서 자음 동화 현상(ㄷ+ㄴ→ㄴ+ㄴ, ㄷ+ㅁ→ㄴ+ㅁ)이 일어나 [밴노리,빈물]로 발음되므로, 사이시옷을 붙이어    ④の場合は,前の単語の最後が閉鎖され,子音同化現象()が起こり,[밴노리][빈물]と発音されるため,サイシオッを付けて,
         
    뱃놀이, 콧날, 빗물, 잇몸, 무싯날, 봇물, 팻말 
       
    로 적는다. '팻말, 푯말'은, 한자어 '패(牌), 표(標)'에 '말(말뚝)'(옛말에서 'ㅎ'곡용어)이 결합된 형태이므로,
2의 규정을 적용하여 '팻말, 푯말'로 적는 것이다. 다만, 한자어 '牌, 標'은 '패말, 표말'로 적어야 한다.
  と表記する.『팻말』『푯말』は,漢字語『(牌)』『(標)』に『말뚝(杭))』(古語で『』曲用語)が結合した形態であるため,2の規定を適用して『팻말』『푯말』と表記する.だが,漢字語『牌抹』『標抹』は『』『표말』と表記しなければならない.
    ⑤의 경우는, 앞 단어 끝이 폐쇄되면서 뒤 단어의 첫소리로 [ㄴ]음이 첨가되고, 동시에 동화 현상이 일어나 [깯닙→깬닙, 나묻닙→나문닙]으로 발음되므로, 사이시옷을 붙이어   ⑤の場合は,前の単語の最後が閉鎖され,後の単語の初声として[]音が添加され,同時に同化現象が発生して[깯닙깬닙][나묻닙나문닙]として発音されるため,サイシオッを付けて
         
    깻잎, 나뭇잎, 뒷윷, 허드렛일, 가욋일, 봇일  
       
    로 적는다.   と表記する.
       
    ⑥의 경우는, 한자어에는 사이시옷을 붙이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이 6개 단어만은    ⑥の場合は,漢字語ではサイシオッを付けないのを原則とするが,この6つの単語だけは
         
    곳간 , 셋방, 숫자, 찻간, 툇간, 횟수 
       
    로 적는다.   と表記する.
       
    이 설명에 따르면, '내과(內科), 이과(理科), 총무과(總務課), 장미과(薔薇科)' 등은 3에서 다루어진 6개 이외의 한자어이므로 사이시옷을 붙이지 않으며, '나리-과(科), 말선두리-과(科)' 등은, '과'가 비교적 독립성이 약한 형태소이긴 하지만, 앞의 고유어와의 사이에 경계가 인식되는 구조이므로, 2의 규정을 적용하여    この説明によれば,『내과(内科)』『이과(理科)』『총무과(総務課)』『장미과(バラ(薔薇)科)』などは,3で扱われた6つ以外の漢字語であるため,サイシオッを付けず,『나리-(科)(ユリ科)』『말선두리-(科)(ゲンゴロウ科)』などは,『(科)』が比較的独立性が弱い形態素ではあるが,前の固有語との間に境界が認識される構造であるため,2の規定を適用して
         
    나릿과, 말선두릿과
       
    로 적는다.   と表記する.
       
    한편, 2 (1)의 예시어 '찻잔, 찻종'에서의 '차'가 순 우리말이냐 하는 의문이 있을 수 있겠으나, 예로부터 '茶 '자의 새김(訓)이 '차'였으므로, 한자어 '다(茶)와 구별한 것으로 해석된다.    一方,2(1)の例示語『찻잔』『찻종』での『』が固有語なのかという疑問が存在しえるが,以前から『茶』の訓が『』だったため,漢字語『(茶)』と区別したものだと解釈される.
         
       


ハングル正書法と解説home

(margin)
(mar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