かじりたてのハングル ハングル正書法と解説
(margin) ハングル正書法と解説標準語規定と解説home
(margin)

         
    【第4章】 形態に関する事項   第5節 縮約形
        40
    어간의 끝음절 '' '' 줄고 '' 다음 음절의 첫소리와 어울려 거센소리로 적에는 거센소리로 적는다.
  語幹の最後の音節の『』の『』が縮約して,『』が次の音節の初声と合わさり激音となるときには,激音で表記する.
       
        본말              준말
(本来の形)          (縮約形)
      본말               준말
(本来の形)                  (縮約形)
    간편하게(簡便に)                    간편케
연구하도록
(研究するように)    연구토록
가하다
(加える)                         가타
  다정하다 (優しい)          다정타
정결하다(清らかだ)                정결타
흔하다
(ありふれている)             흔타
         
    [붙임 1]    [付則1]
     'ㅎ'이 어간의 끝소리로 굳어진 것은 받침으로 적는다.    』が語幹の最後の音として固定化したものは,パッチムとして表記する.
         
    않다(〜でない)         않고     않지     않든지
그렇다(そうだ)         그렇고   그렇지   그렇든지
아무렇다(どうしようと) 아무렇고 아무렇지 아무렇든지
어떻다(どうだ)         어떻고   어떻지   어떻든지
이렇다(こうだ)         이렇고   이렇지   이렇든지
저렇다(ああだ)         저렇고   저렇지   저렇든지 
       
    [붙임 2]    [付則2]
    어간의 끝 음절 '하'가 아주 줄 적에는 준 대로 적는다.   語幹の最後の音節の『』がすべて縮約したときには,縮約したとおりに表記する.
         
         본말
(本来の形) 
      준말
  (縮約形)
    거북하지(きまずく〜)
생각하건대(考えると,思うに)
생각하다 못해(思いもよらず)
깨끗하지 않다(清潔でない)
넉넉하지 않다(充分でない)
못하지 않다(劣らない)
섭섭하지 않다(残念でない)
익숙하지 않다(慣れていない)
  거북지
생각건대
생각다 못해
깨끗지 않다
넉넉지 않다
못지않다
섭섭지 않다
익숙지 않다 
         
    [붙임 3]    [付則3]
    다음과 같은 부사는 소리대로 적는다.     次のような副詞は,発音どおりに表記する.
         
    결단코 결코 기필코 무심코 아무튼
요컨대 정녕코 필연코 하마터면 하여튼 한사코 
       
    【解説】
       
    제15항에서는 실질 형태소인 어간과 형식 형태소인 어미를 구별하여 적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 규정에 따르면, 통일안(제56항)에서와 같이 '흔하다'가 준 형태는 '흔ㅎ다' 또는 '흖다'로 적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준 소리 'ㅎ'을 사이 글자로 적는 데는 문제점이 있다.
  第15項では実質形態素である語幹と形式形態素である語尾を区別して表記するように規定している.この規定によれば,統一案(第56項)と同じく『흔하다』が縮約した形態は『흔ㅎ다』または『흖다』と表記しなければならない.
しかし,縮約した『
』音を間隙の文字として表記することには問題点がある.
     첫째는, 한글 맞춤법의 체계에 있어서 예외적인 형식이 된다. 곧, 한글 맞춤법의 체계는 말소리를 음절 단위로 적는 것인데, 다만 이 준 소리 'ㅎ'만은 한 개 자음이 독립적인 위치에 놓이게 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필기의 형식이나 인쇄물의 체재에서 시각적으로 부자연스러운 느낌을 주게 된다.   第一は,ハングル正書法の体系において例外的な形式となる.すなわち,ハングル正書法の体系は,発音を音節単位で表記するものだが,しかしこの縮約した『』音だけはひとつの子音が独立的な位置に置かれることになる.そのため筆記の形式や印刷物の体裁で,視覚的に不自然な印象を与えることとなる.
      둘째는, 대중이 사이 글자 'ㅎ'의 용법을 익히는 데 어려움이 있다. 맞춤법은 교양인을 대상으로 하는 규정의 성격을 띠는 게 통례이긴 하지만, 현대 사회에 있어서는 근본적으로 대중을 위한 규정을 지향(指向)하는 것이므로, 대중이 이해하고, 대중이 준용(準用)할 수 있는 규정이 되도록 하는 일이 중요한 것이다.   第二は,大衆が間隙の文字『』の用法に慣れることに困難がある.正書法は教養人を対象とする規定の性格を帯びることが通例ではあるが,現代社会においては根本的に大衆のための規定を指向するものであるため,大衆が理解し,大衆が準用できる規定となるようにすることが重要だ.
      "어간 끝 음절 '하-'의 'ㅏ'가 줄고 'ㅎ'이 남는 경우"를 이해하고 사이 글자 'ㅎ'을 쓰는 일은, 아무래도 대중에게 있어서는 어려운 규정이라고 생각된다. 이런 까닭으로, 통일안 제56항(준 소리 'ㅎ'관계)은 교과서 표기에서나 제대로 지켜졌을 뿐, 유야무야(有耶無耶)한 규정이었다고 할 것이다.   『語幹の最後の音節「-」の「」が縮約し「」lが残る場合』と理解して間隙の文字『』を使うことは,どうしても大衆においては難しい規定だと考えられる.このような理由で,統一案第56項(縮約音『』関係)は,教科書での表記をそのまま遵守しただけのうやむやな規定であったとするものだ.
    그리하여 이번 개정에서는 이 경우도 예외로 다루어, 소리 나는 대로 적기로 한 것이다.    そのため今回の改定では,この場合も例外として扱い,発音どおりに表記することとした.
       
    • 가(可)하다 부(否)하다→가타 부타(→가타부타) (良し悪し)
• 무능하다→무능타        • 부지런하다→부지런타    • 아니하다→아니타
• 감탄하게→감탄케        • 달성하게→달성케        • 실망하게→실망케
• 당(當)하지→당치        • 무심하지→무심치        • 허송하지→허송치
• 분발하도록→분발토록    • 실천하도록→실천토록    • 추진하도록→추진토록
• 결근하고자→결근코자    • 달성하고자→달성코자    • 사임하고자→사임코자
• 청하건대→청컨대        • 회상하건대→회상컨대  
         
    [붙임 1]    [付則1]
    준말에 있어서, 'ㅎ'이 어간의 끝소리로 굳어져 있는 것은 받침으로 붙여 적는다. 이 경우, 한 개 단어로 다루어지는 준말의 기준은 관용에 따르는데, 대체로 지시 형용사(指示形容詞) '이러하다, 그러하다, 저러하다, 어떠하다, 아무러하다' 및 '아니하다' 등이 줄어진 형태가 이에 해당된다.    縮約形において『』が語幹の最後の音として固定化しているものは,パッチムとして付けて表記する.この場合,ひとつの単語として扱われる縮約形の基準は慣用に従うが,大体指示形容詞『이러하다(こうだ)』『그러하다(そうだ)』『저러하다(ああだ)』『어떠하다(どうだ)』『아무러하다(しかじかだ)』および『아니하다((〜で)ない)』などが縮約した形態がこれに該当する.
         
      • (이러하다→) 이렇다, 이렇게, 이렇고, 이렇지, 이렇거나, …
  • (아니하다→) 않다, 않게, 않고, 않지, 않든지, 않도록, … 
       
    [붙임 2]    [付則2]
    어간의 끝 음절 '하'가 줄어진 형태로 관용되고 있는 형식을 말하는데, 안울림소리 받침 뒤에서 나타난다    語幹の最後の音節『』が縮約した形態で慣用されている形式をいうが,平音のパッチムの後で現れる.
         
    • 갑갑하지 않다→갑갑지 않다→갑갑잖다   • 깨끗하지 않다→깨끗지 않다→깨끗잖다
• 넉넉하지 않다→넉넉지 않다→넉넉잖다   • 답답하지 않다→답답지 않다→답답잖다
• 못하지 않다→못지않다(→못잖다)        • 생각하다 못하여→생각다못해
• 생각하건대→생각건대                   • 익숙하지 못하다→익숙지 못하다 
       
    [붙임 3]    [付則3]
    어원적인 형태는 용언의 활용형으로 볼 수 있더라도, 현실적으로 부사로 전성된 단어는, 그 본 모양을 밝히지 않고 소리 나는 대로 적는다. 이들 단어는 용언적 기능(서술 기능)을 지니지 않을 뿐 아니라, 불변화사(不變化詞)인 부사는 활용의 형태와 연관시켜 생각할 필요가 없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것은, 제19항 붙임2 (3)에서 다루어진 조사 '나마, 부터, 조차'의 경우와도 상통하는 규정이다. 이런 단어의 경우는 대개 원형이 사용되지 않으므로, 준말의 유형에서 제외할 만한 것이지만, 그 표기 방식에 대하여 의문을 가지기 쉬운 것이어서, 여기서 다루어 놓았다.   語源的な形態は用言の活用形だと見ることができても,形式的には副詞に転成した単語は,その本来の形を明らかにせず,発音どおりに表記する.これらの単語は用言的機能(叙述機能)を持っていないだけでなく,不変化詞である副詞は,活用の形態と関連させて考える必要がないためだ.これは,第19項の付則2(3)で扱われた助詞『나마』『부터』『조차』の場合と相通じる規定だ.このような単語の場合はほとんど原形が使用されないため,縮約形の類型から除外すべきものだが,その表記方式に対して疑問を持ちやすいもので,ここで扱って置いた.
      예시어 중, '아무튼, 하여튼'은 사전에서 '아뭏든, 하옇든(지)'으로 다루어지고 있는 것인데, 이번에 바꾸었다. 그러나 '이렇든(지), 그렇든(지), 저렇든(지), 아무렇든(지), 어떻든(지)' 따위는 '이렇다, 그렇다, 저렇다, 아무렇다, 어떻다'의 활용형이므로, '튼(지)'으로 적지 않는다. 이 경우, 부사 '어떻든'은 형용사 '어떻든(지)'이 부사로 전성되는 것으로 설명된다.   例示語のうち,『아무튼(いずれにせよ)』『하여튼(いずれにせよ)』は,辞典で『아뭏든』『하옇든()』と扱われているものだが,今回変更した.しかし『이렇든()(こうであれ))』『그렇든()(そうであれ)』『저렇든()(ああであれ)』『아무렇든()(どうであれ)』『어떻든()(どうであれ)』などは,『이렇다』『그렇다』『저렇다』『아무렇다』『어떻다』の活用形であるため,『()』とは表記しない.この場合,副詞『어떻든』は,形容詞『어떻든()』が副詞として転成したものだと説明される.
      한편, '-하다'형 용언과 결부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토록, 그토록, 저토록, 열흘토록, 종일토록, 평생토록' 등도 소리 나는 대로 적는다.   一方,『-하다』形用言と結びつけられるものではないが,『이토록』『그토록』『저토록』『열흘토록』『종일토록』『평생토록』なども発音どおりに表記する.
         
       


ハングル正書法と解説home

(margin)
(mar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