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第2章】
発音の変化による標準語規定 |
|
第1節 子音 |
|
|
|
|
第7項 |
|
수컷을 이르는 접두사는 '수-'로 통일한다.(ㄱ을 표준어로 삼고, ㄴ을 버림.) |
|
オス(雄)を示す接頭辞は『수-』で統一する(ㄱを標準語とし,ㄴを捨てる). |
|
|
|
|
|
|
ㄱ
ㄴ 비고(備考)
수-꿩
수-퀑/숫-꿩 '장끼'도
표준어임.
수-나사
숫-나사
수-놈
숫-놈
수-사돈
숫-사돈
수-소
숫-소
'황소'도 표준어임.
수-은행나무 숫-은행나무 |
|
|
|
|
|
|
다만 1. |
|
[但し1] |
|
|
다음 단어에서는 접두사
다음에서 나는 거센소리를 인정한다. 접두사 '암-'이 결합되는 경우에도 이에 준한다.(ㄱ을 표준어로 삼고, ㄴ을 버림.) |
|
次の単語では接頭詞の後で発音される激音を認める.接頭詞「암-」が結合する場合にもこれに準ずる(ㄱを標準語とし,ㄴを捨てる). |
|
|
|
|
|
|
ㄱ
ㄴ
수-캉아지 숫-강아지
수-캐
숫-개
수-컷
숫-것
수-키와
숫-기와
수-탉
숫-닭
수-탕나귀 숫-당나귀
수-톨쩌귀 숫-돌쩌귀
수-퇘지
숫-돼지
수-평아리 숫-병아리 |
|
|
|
|
|
|
다만 2. |
|
[但し2] |
|
|
다음 단어의 접두사는
'숫-'으로 한다.(ㄱ을 표준어로 삼고, ㄴ을 버림.) |
|
次の単語の接頭辞は「숫-」とする(ㄱを標準語とし,ㄴを捨てる). |
|
|
|
|
|
|
ㄱ
ㄴ
숫-양 수-양
숫-염소 수-염소
숫-쥐 수-쥐 |
|
|
|
|
|
|
【解説】 |
|
|
|
|
|
|
암-수'의
'수'는 역사적으로 명사 '숳'이었다. 오늘날 '수캐, 수탉' 등에 받침 'ㅎ'의 자취가 남아 있다. 그러나 오늘날 '숳'은 명사로 쓰이는
일은 '암수'라는 복합어 정도 이외에는 거의 없어지고 접두사로만 쓰이게 되었고, 그로써 받침 'ㅎ'의 실현이 복잡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접두사 '숳~수'의 처리는 오랫동안 진통을 겪었다. |
|
「암수(雌雄)」の「수(オス)」は,歴史的に名詞「숳」だった.こんにち「수캐,(雄犬)」「수탉(雄鶏)」などにパッチム「ㅎ」の跡が残っている.しかし,こんにち「숳」は名詞として使われることは「암수」という複合語程度意外にはほとんどなくなり,接頭辞としてだけつかわれるようになり,それによりパッチム「ㅎ」の実現が複雑になった.それで接頭辞「숳」「수」の処理は長期間の苦労を経た. |
|
|
다만 1. |
|
[但し1] |
|
|
받침 'ㅎ'이 다음 음절
첫소리와 거센소리를 이룬 단어들로서 역사적으로 복합어가 되어 화석화한 것이라 보고 '숳'을 인정하되, 표기에서는 받침 'ㅎ'을 독립시키지
않기로 한 것이다. 여기에서 어느 단어까지가 이 유형으로 화석화한 것인지의 경계를 긋기가 어려운 점이 남아 있다. '수탉, 수캐' 등은
혼란의 여지가 없지만, '수탕나귀'는 서툴러하는 사람들이 있고, 또 여기에 제시되지 않은 '개미, 거미'도 '수캐미, 수커미'가 자연스럽게
느껴질 사람이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번에는 거센소리를 [다만1]에 제시된 단어에 한하여 인정하였다. |
|
パッチム「ㅎ」が次の音節の初声と激音を成す単語と歴史的に複合語となり死語となったと見て「숳」を認めるが,表記ではパッチム「ㅎ」を独立させないことにした.ここでどの単語までがこの類型として死語となったのかの境界を引くには難しい点が残っている.「수탉」,「수캐」などは混乱の余地が無いが,「수탕나귀(オスのロバ)」には馴染みの薄い人々もいて,またここに提示されていない「거미(アリ)」「개미(クモ)」も「수캐미(オスアリ)」「수커미(オスグモ)」が自然に感じる人がいるだろう.しかし,今回は激音を[但し1]で提示された単語に限り認めた. |
|
|
다만2. |
|
[但し2] |
|
|
발음상 사이시옷과 비슷한
소리가 있다고 판단하여 '숫-'의 형태를 취하였다. |
|
発音上サイシオッと似た音があると判断し,「숫-」の形態をとった. |
|
|
[다만1]과
[다만2]에 제시된 이외의 단어에서는 '수-'로 통일하였다. 이 접두사의 기본형을 '수-'로 잡은 것이다. 여기 제시된 이외의 어떤 단어,
가령 '거미, 개미, 할미새, 나비, 술' 등은 모두 '수거미, 수개미, 수할미새, 수나비, 수술'로 통일한 것이다. 여기에서 '수놈,
수소'의 현실음이 과연 아무 받침이 없이 이렇게 발음되는지, 아니면 '숫놈, 숫소'인지 하는 것이 문제로 남는다. '숫쥐, 숫양'은
'수쥐, 수양'이 아니면서 '수놈, 수소'는 '숫놈, 숫소'가 되지 못하는 불균형이 드러나기도 한다. |
|
[但し1]と[但し2]に提示された以外の単語では「수-」で統一した.この接頭辞の基本形は「수-」とした.ここに提示された以外のある単語,仮に「거미」.「개미」.「할미새(セキレイ)」.「나비(チョウ)」,「술(花心)」などは,すべて「수거미」.「수개미」.「수할미새(オスのセキレイ)」.「수나비(オスのチョウ)」.「수술(おしべ)」で統一した.ここで「수놈(オス)」,「수소(雄牛)」の現実音が果たしてパッチム無しでそのように発音されるのか,でなければ「숫놈」,「숫소」なのかというのが問題として残る.「숫쥐(オスのネズミ)」,「숫양(牡羊)」は「수쥐」,「수양」でなく,「수놈」,「수소」は「숫놈」,「숫소」とはならない不均衡が現われもした.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