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第2章】
発音の変化による標準語規定 |
|
第2節 母音 |
|
|
|
|
第9項 |
|
'ㅣ' 역행 동화 현상에 의한 발음은
원칙적으로 표준 발음으로 인정하지 아니하되, 다만 다음 단어들은 그러한 동화가 적용된 형태를 표준어로 삼는다.(ㄱ을 표준어로 삼고, ㄴ을
버림.) |
|
『ㅣ』の逆行同化現象による発音は原則的に標準発音と認めないが,しかし次の単語はそのような同化が適用される形態を標準語とする(ㄱを標準語とし,ㄴを捨てる). |
|
|
|
|
|
|
ㄱ
ㄴ
비고(備考)
-내기
-나기
서울-, 시골-, 신출-, 풋-.
냄비
남비
동댕이-치다 동당이-치다 |
|
|
|
|
|
|
붙임1. |
|
[付則1] |
|
|
다음 단어는 'ㅣ' 역행
동화가 일어나지 아니한 형태를 표준어로 삼는다.(ㄱ을 표준어로 삼고, ㄴ을 버림.) |
|
次の単語は「」の逆行同化が起こらない形態を標準語とする(ㄱを標準語とし,ㄴを捨てる). |
|
|
|
|
|
|
ㄱ. 아지랑이 ㄴ.
아지랭이 |
|
|
|
|
|
|
붙임2. |
|
[付則2] |
|
|
기술자에게는 '-장이', 그
외에는 '-쟁이'가 붙는 형태를 표준어로 삼는다.(ㄱ을 표준어로 삼고, ㄴ을 버림.) |
|
技術者には「-장이」,その他には「-쟁이」が付く形態を標準語とする(ㄱを標準語とし,ㄴを捨てる). |
|
|
|
|
|
|
ㄱ
ㄴ
미장이
미쟁이
유기장이
유기쟁이
멋쟁이
멋장이
소금쟁이
소금장이
담쟁이-덩굴 담장이-덩굴
골목쟁이
골목장이
발목쟁이
발목장이 |
|
|
|
|
|
|
【解説】 |
|
|
|
|
|
|
ㅣ'
역행 동화는 전국적으로 매우 일반화되어 있는 현상이다. 그러나 대부분 주의해서 발음하면 피할 수 있는 발음이어서, 그 동화형(同化形)을
표준어로 삼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게다가 이 동화 현상이 너무 광범위하여 그것을 다 표준어로 인정하면 너무 큰 변혁이어서 혼란을 야기할
우려도 있다. 가령 '손잡이, 먹이다'까지 '손잽이, 멕이다'로 바꾼다면 여간 큰 변혁이 아닐 것이다. 그리하여 이번의 개정에서 'ㅣ'
역행 동화 현상을 인정하는 표준어의 개정은 극소화하였다. |
|
「ㅣ(i)」の逆行同化は,全国的にとても一般化している現象だ.しかし,ほとんどは注意して発音すれば避けられる発音で,その同化形を標準語とするのは難しい実情だ.その上この同化現象があまりにも広範囲で,それをすべて標準語と認めるととても大きな変革で混乱をひき起こす恐れもある.例えば「손잡이(取っ手,つり革)」,「먹이다(食べさせる)」まで「손잽이」,「멕이다」と変えると並大抵の変革ではない.それで今回の改定で「ㅣ(i)」の逆行同化現象を認める標準語の改定は最小限とした. |
|
|
-나기'는
서울에서 났다는 뜻의 '서울나기'는 그대로 쓰임직하나, '신출나기, 풋나기'는 어색하므로 일률로 '-내기'로 한것이다. |
|
「-나기」は,ソウル生まれという意味の「서울나기」だとそのまま使われそうだが,「신출나기」,「풋나기」はおかしいので,一律に「-내기」とした. |
|
|
남비'는
종래 일본어 '나베'(鍋)에서 온 말이라 하여 원형을 의식해서 처리했던 것이나, 이제 와서는 제5항에서 '강남콩'을 '강낭콩'으로 처리한
것과 마찬가지로 '냄비'로 한 것이다. |
|
「남비(鍋)」は従来日本語の「鍋(なべ)」からきた言葉として原形を意識して処理していたものだが,ここにきて第5項で「강남콩」を「강낭콩」と処理したのと同じく「냄비」とした. |
|
|
붙임1. |
|
[付則1] |
|
|
'아지랑이'는 사전에서 '아지랭이'로 고쳐져 교과서에 반영되어 그동안
'아지랭이'가 표준어로 행세해 왔으나, 현실 언어가 '아지랑이'이므로 36년에 정한 대로 '아지랑이'로 되돌린 것이다. |
|
「아지랑이(かげろう)」は辞典では「아지랭이」と修正され,教科書に反映されこれまで「아지랭이」が標準語として通ってきたが,現実の言語が「아지랑이」であるため36年に定めたとおり「아지랑이」に戻した. |
|
|
붙임2. |
|
[付則2] |
|
|
'-장이'는 논란이 많았던 항목인데, 하나의 타협안으로서 '匠人'이란
뜻이 살아 있는 말은 '-장이'로, 그 외는 '-쟁이'로 하기로 한 것이다.따라서 '미장[泥匠], 유기장[鍮器匠]'은 '미장이,
유기장이'로 한 것이다. 갓을 만드는 것을 업으로 하는 사람은 '갓장이', 갓을 멋들어지게 쓰는 사람은 '멋쟁이'의 경우에 준하여
'갓쟁이'로 분화되는 것이다. |
|
「-장이」は論争が多かった項目だが,ひとつの妥協案として「匠人(たくみ)」という意味が生きている言葉は「-장이」で,その他は「-쟁이」とすることとした.したがって,「미장[泥匠]」,「유기장[鍮器匠]」は,「미장이(左官)」,「유기장이([鍮器-]真鍮製の食器を作る職人(=놋갓장이),[柳器-]柳行李職人(=고리장이))」とした.笠(갓)を作ることを生業とする人は「갓장이」,갓を着こなす人は,「멋쟁이(おしゃれな人)」の場合に準じて「갓쟁이」と分化させた.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