かじりたてのハングル 標準語規定と解説
(margin) 標準語規定と解説ハングル正書法と解説home
(margin)

         
    【第2章】 発音の変化による標準語規定   第4節 単数標準語
        17
  비슷한 발음의 몇 형태가 쓰일 경우, 그 의미에 아무런 차이가 없고, 그중 하나가 더 널리 쓰이면, 그 한 형태만을 표준어로 삼는다.(ㄱ을 표준어로 삼고, ㄴ을 버림.)
  類似した発音が数種類使われる場合,その意味に特に差がなく,そのうちひとつがより広く使われていれば,そのひとつの形態だけを標準語とする(を標準語とし,を捨てる).
       
                                            비고備考
     1. 거든-그리다   거둥-그리다               1. 거든하게 거두어 싸다.
                                                2. 작은말은 '가든-그리다'임.
     2. 구어-박다     구워-박다                 사람이 한 군데에서만 지내다.
     3. 귀-고리       귀엣-고리
     4. 귀-띔         귀-틤
     5. 귀-지         귀에-지
     6. 까딱-하면     까땍-하면
     7. 꼭두-각시     꼭둑-각시
     8. 내색          나색                      감정이 나타나는 얼굴빛.
     9. 내숭-스럽다   내흉-스럽다
    10. 냠냠-거리다   얌냠-거리다               냠냠-하다.
    11. 냠냠-이       얌냠-이
    12. 너[四]                                ~ 돈, ~ 말, ~ 발, ~ 푼.
    13. 넉[四]        너/네                     ~ 냥, ~ 되, ~ 섬, ~ 자.
    14. 다다르다      다닫다
    15. 댑-싸리       대-싸리
    16. 더부룩-하다   더뿌룩-하다/듬뿌룩-하다
    17. -던           -든                       선택, 무관의 뜻을 나타내는 어미는 '-든'임.
                                                가-든(지) 말-든(지), 보-든(가) 말-든(가).
    18. -던가         -든가
    19. -던걸         -든걸
    20. -던고         -든고
    21. -던데         -든데
    22. -던지         -든지
    23. -(으)려고     -(으)ㄹ려고/-(으)ㄹ라고
    24. -(으)려야     -(으)ㄹ려야/-(으)ㄹ래야
    25. 망가-뜨리다   망그-뜨리다
    26. 멸치          며루치/메리치
    27. 반빗-아치     반비-아치                 '반빗' 노릇을 하는 사람. 찬비(饌婢).
                                                '반비'는 밥짓는 일을 맡은 계집종.
    28. 보습          보십/보섭
    29. 본새          뽄새
    30. 봉숭아        봉숭화                    '봉선화'도 표준어임.
    31. 뺨-따귀       뺌-따귀/뺨-따구니                         '뺨'의 비속어임.
    32. 뻐개다[斫]    뻐기다                    두 조각으로 가르다.
    33. 뻐기다[誇]    뻐개다                    뽐내다.
    34. 사자-탈       사지-탈
    35. 상-판대기     쌍-판대기
    36. 서[三]        세/석                     ~ 돈, ~ 말, ~ 발, ~ 푼.
    37. 석[三]                                ~ 냥, ~ 되, ~ 섬, ~ 자.
    38. 설령(設令)    서령
    39. -습니다       -읍니다                   먹습니다, 갔습니다, 없습니다, 있습니다, 좋습니다.
                                                모음 뒤에는 '-ㅂ니다'임.
    40. 시름-시름     시늠-시늠
    41. 씀벅-씀벅     썸벅-썸벅
    42. 아궁이        아궁지
    43. 아내          안해
    44. 어-중간       어지-중간
    45. 오금-팽이     오금-탱이
    46. 오래-오래     도래-도래                 돼지 부르는 소리.
    47. -올시다       -올습니다
    48. 옹골-차다     공골-차다
    49. 우두커니      우두머니                  작은말은 '오도카니'임.
    50. 잠-투정       잠-투세/잠-주정
    51. 재봉-틀       자봉-틀                   발~, 손~.
    52. 짓-무르다     짓-물다
    53. 짚-북데기     짚-북세기                 '짚북더기'도 비표준어임.
    54. 쪽                                    편(便). 이~, 그~, 저~.
                                                다만, '아무-짝'은 '짝'임.
    55. 천장(天障)    천정                      '천정부지(天井不知)'는 '천정'임.
    56. 코-맹맹이     코-맹녕이
    57. 흉-업다       흉-헙다
       
    【解説】
       
    약간의 발음 차이로 두 형태, 또는 그 이상의 형태가 쓰이는 것들에서 더 일반적으로 쓰이는 형태 하나만을 표준어로 삼은 것이다. 다음 항의 복수 표준어와 대립되는 처리인데 복수 표준어로 인정하려면 그 발음 차이가 이론적으로 설명되든가 두 형태가 비등하게 널리 쓰이든가 하여야 하는데, 여기에서 처리한 것들은 두 형태를 다 표준어로 인정하면 국어를 풍부하게 하는 쪽보다는 혼란을 야기한다고 판단되는 것이어서 단수 표준어로 처리한 것이다.    わずかな発音の差で2つの形態,またはそれ以上の形態が使われるもので,より一般的に使われている形態の1つだけを標準語とした.次の項の複数標準語と対立する処理だが,複数標準語として認定しようとすれば,その発音の差が理論的に説明されるか,2つの形態が同じくらい広く使われているかしなければならないが,ここで処理したものは2つの形態を共に標準語と認めると,国語を豊かにする方よりも混乱をひき起こすと判断され,単数標準語として処理した.
    구어박다(<- 구워박다)'는 '사람이 한군데서만 지내다'의 뜻으로 쓰일 경우 원뜻과 멀어져 원형을 안 밝힌 것이다.    구어박다(←구워박다)」は,「人が一ヶ所でのみ過ごす」の意味で使われる場合は本来の意味と離れ,原形を明確にしない.
    -습니다'는 종래 '-습니다, -읍니다' 두 가지로 적고 '-습니다' 쪽이 더 깍듯한 표현이라고 해 왔으나, 이 규정에서는 '-습니다'와 '-읍니다' 사이의 그러한 의미차가 확연하지 않고 일반 구어(口語)에서 '-습니다'가 훨씬 널리 쓰인다고 판단하여 '-습니다' 쪽으로 통일한 것이다. '-올습니다. -올시다'에서도 마찬가지 이유로 '-올시다'를 표준으로 삼았다.    「-습니다」は従来「-습니다」,「-읍니다」の2種類で書き,「-습니다」の方がより丁寧な表現だとしてきたが,この規定では「-습니다」と「-읍니다」の間のそのような意味の差がはっきりせず,一般の口語で「-습니다」がはるかに広く使われていると判断し,「-습니다」の方へ統一した.「-올습니다」,「-올시다」でも同様の理由で「-올시다」を標準とした.
    썸벅썸벅'은 '씀벅씀벅'의 뜻으로는 버리나 '잘 드는 칼에 쉽사리 계속해서 베어지는 모양이나 그 소리'의 뜻으로는 표준어다.    썸벅썸벅」は,「씀벅씀벅(目をぱちぱちさせる)」の意味としては外れたが,「よく切れる刃物に簡単に連続して切られるようすやその音」の意味としては標準語だ.
       
       


標準語規定と解説home

(margin)
(mar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