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第3章】 語彙選択の変化による標準語規定 |
|
第2節 漢字語 |
|
|
|
|
第22項 |
|
고유어 계열의 단어가 생명력을 잃고 그에 대응되는 한자어 계열의 단어가 널리 쓰이면, 한자어 계열의 단어를 표준어로
삼는다.(ㄱ을 표준어로 삼고, ㄴ을 버림.) |
|
固有語の単語が力を失い,それに対応する漢字語の単語が広く使われていれば,漢字語の単語を標準語とする(ㄱを標準語とし,ㄴを捨てる). |
|
|
|
|
|
|
ㄱ
ㄴ
비고(備考)
개다리-소반
개다리-밥상
겸-상
맞-상
고봉-밥
높은-밥
단-벌
홑-벌
마방-집
마바리-집
馬房∼.
민망-스럽다/면구-스럽다
민주-스럽다
방-고래
구들-고래
부항-단지
뜸-단지
산-누에
멧-누에
산-줄기
멧-줄기/멧-발
수-삼
무-삼
심-돋우개
불-돋우개
양-파
둥근-파
어질-병
어질-머리
윤-달
군-달
장력-세다
장성-세다
제석
젯-돗
총각-무
알-무/알타리-무
칫-솔
잇-솔
포수
총-댕이 |
|
|
|
|
|
|
【解説】 |
|
|
|
|
|
|
앞의 제21항과 대립적인 규정이다. 앞 항에서 한자어라고
하여 버리지 않았던 것과 같은 정신으로, 고유어라고 부당한 특혜를 주어 표준어로 삼는 일을 삼간 것이다. 고유어라도 일상 언어생활에서
쓰이는 일이 없어 생명을 잃은 것들은 버리고, 그에 짝이 되는 한자어만을 표준어로 삼은 것이다. |
|
前の第21項と対立的な規定だ.前項で漢字語だとして捨てなかったことと同じ精神で,固有語だと不当に優遇して標準語とすることを慎んだ,固有語でも日常の言語生活で使われることがなく,生命を失ったものは捨て,それと対になる漢字語だけを標準語とした. |
|
|
비고란에 한자가
나타나지 않은 말 중 한자가 뜻 이해에 도움이 되는 것들을 참고로 다음에 정리해 둔다. |
|
備考欄に漢字が現われない言葉のうち漢字が意味の理解に助けとなるものを参考として,次に整理しておく. |
|
|
개다리-소반(小盤),
겸상(兼牀), 고봉(高捧)-밥,
단(單)-벌, 민망(憫惘)-스럽다/면구(面灸)-스럽다,
방(房)-고래, 부항(附缸)-단지, 수삼(水蔘),
심(心)-돋우개, 양(洋)-파, 윤(閏)-달, 장력(壯力)-세다,
제석(祭席), 총각(總角)-무, 칫(齒)-솔, 포수(砲手) |
|
●개다리-소반[小盤](犬の足に似た足の付いたお膳) ●겸상[兼牀](複数人が共に食事できるように備えた膳) ●고봉[高捧]-밥(山盛りのご飯)
●단[單]-벌(一張羅) ●민망[憫惘]-스럽다/면구[面灸]-스럽다(気恥ずかしい,心苦しい)
●방[房]-고래(オンドルの通気溝) ●부항[附缸]-단지(カッピング用の吸い玉) ●수삼[水蔘](未乾燥の高麗人参)
●심[心]-돋우개(灯心を立たせるのに使う鉄製の串,灯心抑え) ●양[洋]-파(タマネギ) ●윤[閏]-달(閏月) ●장력[壯力]-세다(豪胆だ)
●제석[祭席](祭祀する場所の敷物) ●총각[總角]-무(葉ごとキムチ漬けするまだ若くて小さいダイコン) ●칫[齒]-솔(歯ブラシ)
●포수[砲手](猟師,砲手) |
|
|
심-돋우개'는 '심-도두개'로
고시되었던 것인데 그 표기가 잘못이었으므로 바로잡았다. |
|
「심-돋우개」は「심-도두개」に修正したが,その表記が間違いだったため正した. |
|
|
|
|
|
|
|
|